728x90
반응형
SMALL
2023년 광주광역시 청년 교통비 지원 사업이 실시됩니다.
이름하여 청년 교통수당 드림
◆ 주요정책정보
- 정책명 : 청년 교통수당 드림
- 지역 : 광주시
- 지원 내용
- 대중교통 전용카드 30만원 지급(일시불, 교통카드 충전)
- 사업기간 : 2023-07-01 ~ 2023-12-31
- 신청기간 : 2023-07-01 ~ 2023-08-01
- 지원규모
- 1,000명
◆ 신청자격
- 연령 : 만19세~34세
- 참여요건
- 광주 거주, 만19~34세 미취업 청년
- 기준 중위소득 150%이하 가구
#중위소득 150%이하 가구 나도 해당될까요? 다들 궁금해하시죠?
중위소득이라 함은...
중위소득이란 보건복지부장관이 급여 기준 등에 활용하기 위하여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 및 의결을 거쳐 고시하는 가구소득의 중위값을 말하는데요 급여종류별 선정기준과 생계급여 지급액을 정하는 기준이고, 부양의무자의 부양능력을 판단하는 기준이 됩니다.
중위소득 150%는 임신, 출산, 육아 지원 사업을 신청할 때 필요하며 중위소득 180%는 정부에서 지원하는 청년들을 위한 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할 때 확인이 필요하기도 합니다. 이 외 생계급여는 중위소득 30% 이하, 의료급여는 40$ 이하, 주거급여는 46% 이하, 교육급여는 50% 이하인 경우에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이처럼 기준 중위소득은 다양한 곳에서 필요한데 아래에서 2023년 기준 중위소득을 확인하거나 계산기를 이용해서 직접 계산해보시길 바랍니다.
2023년도 기준 중위소득 4인 가구 기준으로 올해 512만 1080원 대비 5.47% 인상된 540만 964원으로 결정되었으며 수급자 가구 중 70% 이상 차지하는 1인 가구 기준으로는 6.84% 인상되어 올해 207만 7892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.
자세한 중위소득 150% 180% 기준 이제부터 확인해보겠습니다.
2023년 복지대상자 소득인정액 기준표입니다.
구분 | 소 득 인 정 액 | 기본재산액 | |||||||
1인 | 2인 | 3인 | 4인 | 5인 | 6인 | ||||
기준중위소득 | 2,077,892 | 3,456,155 | 4,434,816 | 5,400,964 | 6,330,688 | 7,227,981 | |||
기 초 수 급 자 |
생계급여 | 623,368 | 1,036,847 | 1,330,445 | 1,620,289 | 1,899,206 | 2,168,394 | 광역시7,700만원 | |
의료급여 | 831,157 | 1,382,462 | 1,773,926 | 2,160,386 | 2,532,275 | 2,891,192 | |||
주거급여 | 976,609 | 1,624,393 | 2,084,364 | 2,538,453 | 2,975,423 | 3,397,151 | 양곡유료 별도가구 장제급여 |
||
교육급여 | 1,038,946 | 1,728,078 | 2,217,408 | 2,700,482 | 3,165,344 | 3,613,991 | 수급자양곡 :10kg->2,500원 차상위양곡 :10kg->10,000원 |
||
초중고 교육비 |
1,662,314 | 2,764,924 | 3,547,853 | 4,320,771 | 5,064,550 | 5,782,385 | 광주광역시교육청 기준중위소득의 80% |
||
자연감소분 | 수급자 | 1,038,946 | 1,728,078 | 2,217,408 | 2,700,482 | 3,165,344 | 3,613,991 | 기준중위소득의 50% |
|
부양 의무자 |
2,077,892 | 3,456,155 | 4,434,816 | 5,400,964 | 6,330,688 | 7,227,981 | 기준중위소득의 10% |
||
사용대차 | 부양 (전체) |
98,400 | 111,000 | 132,000 | 153,600 | 158,400 | 187,800 | 4급지기준 임대료*60% |
|
부양 (부분) 제3자 (전체) |
76,752 | 86,580 | 102,960 | 119,808 | 123,552 | 146,484 | 부양(전체)기준* 78% |
||
제3자 (부분) |
19,680 | 22,200 | 26,400 | 30,720 | 31,680 | 37,560 | 부양(전체)기준* 20% |
||
기준임대료 | 203,000 | 226,000 | 270,000 | 313,000 | 323,000 | 382,000 | 3급지 기준임대료 | ||
기준임대료60% | 121,800 | 135,600 | 162,000 | 187,800 | 193,800 | 229,200 | 별도가구특례 | ||
차상위서비스 | 1,038,946 | 1,728,078 | 2,217,408 | 2,700,482 | 3,165,344 | 3,613,991 | 광역시 /기준중위50% |
||
한부모 | 한부모가족 (양육비,증명서) |
2,073,693 | 2,660,890 | 3,240,578 | 3,798,413 | 4,336,789 | 광역시7,700만원 /기준중위60% *200,000원 |
||
청소년한부모 (양육비) |
2,246,501 | 2,882,630 | 3,510,627 | 4,114,947 | 4,698,188 | 광역시7,700만원 /기준중위65% *350,000원 |
|||
청소년한부모 (증명서) |
2,488,432 | 3,193,068 | 3,888,694 | 4,558,095 | 5,204,146 | 광역시7,700만원 /기준중위72% |
◆ 신청방법
- 신청절차
- 청년교통수당드림 홈페이지 (https://www.gjdream.kr)
- 모든 서류는 스캔‧촬영(JPG/PDF) 후 성명.zip파일로 압축하여 업로드
- 심사 및 발표 : 광주광역시 홈페이지 및 청년정책플랫폼 지원자 선정 공고
- 신청 사이트 : http://www.gjdream.kr/
- 제출 서류
- 공고문 참고(지원신청서, 개인정보동의서, 주민등록등본, 최종학력증명서,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, 건강보험자격확인서,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이력내역서 등)
작년에도 보니까 한차례 연장신청 받았더라구요.
중위 150%라면 제 생각엔 광주 청년 70%이상이 해당될거 같으니 꼭 신청하셔서 30만원 받으면 좋겠습니다.
◆ 문의처
- (주)한페이시스 : 062-601-0061~2
- 담당부서 광주광역시 청년정책관 : 062-613-2721
728x90
반응형
'2023 지원사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3년 광주광역시 학교 밖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지원사업 (0) | 2023.05.23 |
---|---|
[지원사업] 2023년 청년 소공인 거버넌스 지원사업 (0) | 2023.05.19 |
2023년 청년정책 전부 모았다 잘 찾아서 꼭 득! (0) | 2023.05.18 |